투자

[돈관리] 사회초년생에게 필요한 월급 관리 노하우

AhnPlay 2020. 11. 25. 21:04
반응형

안녕하세요 먹고놀자 입니다. 오늘은 제가 돈관리 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. 저는 통장마다 쓰이는 방법이 달라서 4개를 만들어 놨습니다. 아래 표로 간단하게 설명을 해 놓았습니다. 개개인마다 월급 관리 하는 방법이 다르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적었습니다. 참고용으로만 보시기 바랍니다.

첫 월급을 받은 사회 초년생은 기쁘기도 하고 어떻게 관리를 해야할지 혼란스러워 합니다. 저도 그래서 검색도 많이 해봤습니다. 왜냐면 관리 잘해서 돈 모아 집도사고 차도사고 맛있는것도 먹고 싶잖아요. 

구분 통장명 목적 비고
1 용돈통장 한달에 용돈을 정해 놓고 월급받으면 넣어놓는 통장.  
2 연지출통장 연지출을 대략 계획하여 1/12로 나누어 넣어놓는 통장  
3 비상금통장 월급의 3배의 금액이 필요함.  
4 자동이체 통장 월급 받고 적금, 카드값, 공과금 자동이체 통장  

아래는 위 표를 참고하여 제 생활에 맞게 맞춰 월급관리하게된 내용입니다.

1. 용돈통장 - 한달에 용돈을 정해 놓고 월급받으면 넣어놓는 통장.

2. 연지출통장 - 5월 가정의 달이나 친한 친구나 가족의 생일이 모여있거나 옷을 사기 위해 여행을 가기 위해 모아두는 통장인데 전 월급의 10%를 이체 해놓습니다. 연지출 통장을 해놓는 이유는 월급을 받고 연행사로 인해 지출타격이 높은 달이 되면 여유가 없어져 뭔가 불안합니다. 근데 연지출 통장을 만들어 놓고나서는 왠만하면 지출에 대한 타격을 받지 않습니다.

3. 비상금통장 - 비상금 통장은 말그대로 비상시에 쓸 수 있는 돈을 모아둡니다. 보통 월급의 3배치를 모아두라고 합니다. 비상금통장 역시 매달 월급의 10%를 이체 해놓습니다.

4. 자동이체통장 - 지출 통장은 공과금이나 카드값 또는 적금 자동이체 통장입니다. 월급을 받으면 매달 카드내역서를 보고 미리 이체 해놓으면 됩니다.

간단히 월급관리에 대해 글을 써봤습니다. 월급날 4개의 통장으로 이체를 다 해놓고 남은 돈은 투자를 통해 재테크를 해야겠죠.

다음에는 가계부쓰는 것과 재태크에 대해 써보도록 하겠습니다.

반응형